좋은 주식을 고르기 위한 또 다른 지표 PBR에 대해 오늘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PER에 대해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확인하세요
PER (= Price Earning Ratio = 주가수익비율) 란
PER (= Price Earning Ratio = 주가수익비율) 란 목차 내용 주식을 싸게 사야한다는 것은 모두가 아는 사실입니다. 그렇다면 어떤 것이 싼 주식일까요 모두가 질문을 하지만 명쾌한 답은 없습니다.
catliky.tistory.com
$$PBR = \frac{주가}{BPS(주당순자산가치)}= \frac{\frac{시가총액}{주식 수}}{\frac{순자산}{주식 수}} = \frac{시가총액}{순자산}$$
즉, PBR란 현재 주식 시장에서 매매되는 주식 가격 (주가)을 주당순자산가치 (BPR)로 나눈 값입니다.
여기서 주당순자산가치 (BPS, Book value Per Share)는 기업의 순자산을 발행 주식수로 나눈 것을 의미합니다.
조금 더 쉽게 이야기하면 기업이 가지는 순자산을 모든 주주들에게 나눠줄 때 한 주당 얼마씩 돌아가는지를 확인하는 지표라고 보시면 됩니다.
다만, 이 때 순자산에 대해서는 기업의 총자산에서 부채를 뺀 자기자본을 이야기할 때도 있고 자기자본에서 무형자산과 배당금, 임원상여금 등 사외유출분을 뺀 것을 보기도 합니다. 이 순자산에는 부동산, 현금 등이 있을 것입니다.
물론 순자산을 자본금+자본잉여금+이익잉여금으로 보기도 합니다.
$$BPS=\frac{순자산}{주식 수}=\frac{기업의 총 자산 - 부채 (-무형자산-배당 및 상여금)}{주식 수}$$
예를 들어 회사의 총 자산이 5억이 있습니다.
부채 2억
기타 무형자산 및 상여금, 배당금 등 1억일 때
순자산은 2억이 됩니다.
만약 여기서 발행 주식 수가 1만장이라면 BPS는 2만원이 됩니다.
다시 말하면 1주당 주주들에게 2만원씩 돌아간다라고 보시면 됩니다.
BPS가 높다는 것은 순자산이 높아 자기자본의 비중이 크거나 회사 가치가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위에서 배운 BPR을 기반으로 PBR을 다시 돌이켜 생각해보면 PBR은 기업의 순자산 대비 1주당 몇 배로 거래되고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설명을 드려보면
A 회사 순자산이 10억이고 B 회사 순자산이 10억이라고 하겠습니다.
여기서 A 회사 시가총액이 5억이고 B 회사 시가총액이 20억이라면
A회사의 PBR은 0.5
B회사의 PBR은 2입니다.
더 풀어쓰면 우리 회사(A) 부채 빼고 다 계산했는데 5억밖에 못받어....라고 한다면 PBR이 낮은게 싸다고 느껴지시나요?
우리 회사(B) 부채 빼고 다 계산했는데 20억이나 받네!!!라고 한다면 PBR이 높다는 것이 싸다고 느껴지시나요?
계산의 편의성을 위해 시가총액으로 PBR을 구했지만 결과적으로는 위에서 써넣은 식에 기반한 것이기에 동일합니다.
위 예시에서처럼 우리는 이제 PBR이 1보다 크면 내 자본 대비 많이 평가받고 있구나라는 것을 알 수 있고 PBR이 1보다 작으면 자본 대비 적게 평가받고 있구나 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PBR이 1미만인 경우 저평가되었다고 말합니다. 다만, PBR은 부채를 반영하지 않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PER와 마찬가지로 PBR은 낮은 수치를 형성할수록 주가가 싼 것으로 받아들여집니다.
그러나 낮은 PER와 PBR을 가진 주식이 항상 투자가치가 높은 것은 아닙니다.
실제 예를 살펴보죠.
삼성전자 오른쪽에 보시면 PBR이 나옵니다.
PBR = 1.84 / BPS=42,447원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기업이 모든 것을 다 처분하고 1주당 주주들에게 줄 수 있는 금액 BPS는 42,447원이고 이를 토대로 주가를 나눠보면 1.84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SK 하이닉스 오른쪽에 보시면 PBR이 나옵니다.
PBR = 1.47 / BPS=85,338원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기업이 모든 것을 다 처분하고 1주당 주주들에게 줄 수 있는 금액 BPS는 85,338원이고 이를 토대로 주가를 나눠보면 1.47인 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반도체만 하는 회사는 아니기 때문에 동종업계라고 딱 꼬집어 말하기 어렵지만 그 비중이 있으므로 동종업계라 가정하고보면 현재 삼성전자와 SK 하이닉스 중 PBR만 따졌을 때는 SK 하이닉스가 더 저평가 되어있다는 것으로 느낄 수 있습니다.
자 이제 느낌이 오시나요?
자! 이제 끝났습니다.
오늘 배운 PBR을 토대로 여러분께서 선택하시는 주식의 보조적인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https://ko.wikipedia.org/wiki/%EC%A3%BC%EA%B0%80%EC%88%9C%EC%9E%90%EC%82%B0%EB%B9%84%EC%9C%A8
주가순자산비율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PBR(주가순자산비율, price-to-book ratio, P/B ratio)는 주가를 BPS(주당순자산가치)로 나눈 것이다. 주가가 1주당 순자산의 몇 배로 매매되고 있는가를 표시하며 PER과 같이 주가의 상대적 수준을 나타낸
ko.wikipedia.org
https://ko.wikipedia.org/wiki/%EC%A3%BC%EB%8B%B9%EC%88%9C%EC%9E%90%EC%82%B0%EA%B0%80%EC%B9%98
주당순자산가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주당순자산가치(BPS, Book-value Per Share)는 기업의 순자산을 발행 주식수로 나눈 것이다. 주당순자산가치는, '청산가치' 라고도 불린다. 그 이유는 현재 시점에서 기업의 활동을 중단시키고 그 부를
ko.wikipedia.org
https://ecodemy.cafe24.com/pbr.html
[경제신문읽는법] - PBR이란?
■ PBR PBR이란? PBR(Price to Book Ratio : 주가순자산비율)은 주가를 주당순자산으로 나눈것입니다.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주)별로 안 엄청나"의 주가가 2000원이고 주당순자산이 1500원이라면 주가순
ecodemy.cafe24.com
https://namu.wiki/w/%EC%A3%BC%EA%B0%80%EC%88%9C%EC%9E%90%EC%82%B0%EB%B9%84%EC%9C%A8
OEM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 이란 (0) | 2022.02.01 |
---|---|
ETF (Exchange Traded Fund) 란 (0) | 2022.01.31 |
시가총액(Market Capitalization) 이란 (0) | 2022.01.17 |
CPI (= Consumer Price Index = 소비자물가지수) 란 (0) | 2022.01.14 |
PER (= Price Earning Ratio = 주가수익비율) 란 (0) | 2022.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