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을 싸게 사야한다는 것은 모두가 아는 사실입니다.
그렇다면 어떤 것이 싼 주식일까요
모두가 질문을 하지만 명쾌한 답은 없습니다.
사람마다 바라보는 시각, 관점, 세계의 흐름 등에 따라 변동하는 주식 시장 속 판단 기준이 다 다르기 때문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그럼에도 가장 기본이 되는 경제 상식, 주식 상식이 되는 용어가 있고 우리는 이제 그 용어에 대해 배워보고자 합니다.
우리가 오늘 배울 내용은 PER입니다.
$$PER = \frac{주가}{EPS(주당순이익)}= \frac{\frac{시가총액}{주식 수}}{\frac{당기순이익}{주식 수}} = \frac{시가총액}{당기순이익}$$
즉, PER란 현재 주식 시장에서 매매되는 주식 가격 (주가)을 주당순이익 (EPS)으로 나눈 값입니다.
더 쉽게 쓰면 이익을 내는 것 대비 주가를 나타냅니다.
EPS (=Earning Per Share)는 주당순이익으로 기업이 벌어들인 당기순이익을 주식 수로 나눈 값을 의미합니다. 즉, 한 주당 얼마만큼의 이익을 창출했는지를 나타내는 1년 단위 지표
$$EPS=\frac{당기순이익}{주식 수}$$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A라는 회사가 존재하고 주가는 10만원입니다. 이 때 주당 순이익이 1만원이라면 PER는 10(=10만원/1만원)입니다.
B라는 회사가 존재하고 주가는 10만원입니다. 이 때 주당 순이익이 2만원이라면 PER는 5(=10만원/2만원)입니다.
계산이 쉽죠?
그렇다면 A와 B가 동종업계의 회사일 때 어떤 회사가 더 선호될까요?
1주당 순이익을 2만원씩 벌어들이는 회사가 1만원씩 벌어들이는 회사보다 훨씬 좋다는 것이 보이시나요?
PER는 다른 말로 원금 회수기간이라고도 칭하기도 합니다.
즉, A라는 회사는 원금을 회수하기 위해서는 10년이 필요하지만 B라는 회사는 5년만 필요합니다.
그럼 주가가 같을 때 주당 순이익이 높은 B가 훨씬 더 좋다는 것을 아실 것이고 이는 PER가 낮은 것이 좋다는 것과 동치라는 것 또한 알게되실 것입니다.
즉, PER는 낮은 것이 좋다. = PER가 낮기 위해서 주가가 낮거나 / 주당 순이익이 높아야 한다. = 원금 회수기간이 짧다 = 저평가 되어있다
실제 예를 들어볼까요
현재 2022.01.02 일요일 네이버 공시에 뜬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화면을 캡쳐해보았습니다.
$$PER = \frac{78,300원}{5,159원} = 15.1773....$$
$$주가 = \frac{시가총액}{상장주식 수} = \frac{4,674,340억원}{5,969,782,550개} = 78,300.0044...원$$
$$PER = \frac{131,000원}{11,061원} = 11.843413....$$
$$주가 = \frac{시가총액}{상장주식 수} = \frac{953,683억원}{728,002,365개} = 130,999.9865...원$$
그러나 PER는 실적에 반영되지 않은 회사 경쟁력 약화, 시장환경 악화 등의 이유로도 PER가 낮을 수 있기 때문에 PER가 낮다고 꼭 좋은 것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동시에 PER이 높다고 꼭 나쁜 것만은 아닙니다. 미래의 성장성이 높은 성장주에 많이 몰리는 경우 PER이 높아지는데 지금의 순이익은 낮지만 추후 순이익이 높아지면 그것도 돈을 벌 수 있는 기회니까요.
또한 PER에서 사용되는 주당순이익 시기를 잡는 기준은 전년도 순이익 기준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유의해야합니다.
한계점이 분명히 존재하는 PER는 회사의 성장 가능성과 잠재력, 경쟁력을 동시에 고려하여 잘 사용해야 합니다.
1) 나무위키 : 주가수익비율
https://namu.wiki/w/%EC%A3%BC%EA%B0%80%EC%88%98%EC%9D%B5%EB%B9%84%EC%9C%A8
2) Wiki
https://ko.wikipedia.org/wiki/%EC%A3%BC%EA%B0%80%EC%88%98%EC%9D%B5%EB%A5%A0
주가수익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주가수익률(Price Earnings Ratio, 간단히 PER)은 주가의 상황을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지표 가운데 하나로, 주가순자산비율(PBR)과 함께 자주 사용되는 용어이다. 미국에서는 P/E 또는 PE로 표시하기도 한
ko.wikipedia.org
OEM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 이란 (0) | 2022.02.01 |
---|---|
ETF (Exchange Traded Fund) 란 (0) | 2022.01.31 |
시가총액(Market Capitalization) 이란 (0) | 2022.01.17 |
CPI (= Consumer Price Index = 소비자물가지수) 란 (1) | 2022.01.14 |
PBR (= Price to Book-value Ratio 주가순자산비율) 란 (0) | 2022.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