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는 Exchange Traded Fund의 약자로 상장지수펀드라고 불리는 상품입니다.
즉, 특정 지수의 성과를 추적하는 인덱스 펀드를 거래소에 상장시켜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게 한 펀드입니다.
이처럼 ETF는 인덱스 펀드와 주식 거래의 장점을 모두 갖추어 많은 투자자들이 활용하는 투자 상품입니다.
이는 우리가 개별 주식을 고르지 않아도 분산투자를 통한 투명한 투자가 가능하게 하고 쉽고 빠른 투자가 가능하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찾는 주식의 한 종류라고도 보실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국내 주식 지수 추종 ETF인 KODEX 200, TIGER 200 등이 있고 미국 지수 추종 ETF는 S&P500, QQQ 등이 있습니다.
ETF에 대한 장점으로는 크게 5가지를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해당 내용은 KODEX에 나와있는 내용과 여러 자료들을 종합하여 정리하였습니다.
추적하는 기초지수의 성과가 ETF의 1주당 가격에 반영되기 때문에 시장 전체나 특정 업종의 성과가 곧 투자성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펀드는 운용보수가 1%넘게 받고 중도에 환매*할 경우 수수료도 부과되며 환매 후 1주일 이상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반면 ETF는 운용보수가 0.2%이고 주식과 같이 매도 후 2틀 후 현금 확보가 가능합니다. 추가로 국내 주식 매도시 붙는 0.3%의 거래세가 ETF에는 부과되지 않습니다.
*환매:
-> 1. 남에게 팔았던 물건을 도로 사들임.
-> 2. 증권 회사 측에서 투자 신탁의 중도 해약을 이르는 말.
1주만 보유해도 각 ETF가 보유한 모든 종목에 투자한 것과 유사한 성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채권이나 원유와 같이 접근이 힘든 자산에도 투자를 가능하게 해 분산투자를 도와줍니다.
2)에서 이야기한 바와 같이 펀드와 달리 별도의 환매기간이나 수수료가 없고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수량만큼 매매할 수 있습니다. 매일 해당 ETF의 설정과 해지 현황을 공시하는 것을 통해 상품의 투명성을 높힙니다.
ETF의 구성종목과 각 종목의 보유비중, 보유수량, 가격 등을 실시간으로 공개하고 보유한 주식들의 배당금 역시 현금으로 지급합니다.
http://www.kodex.com/etf.do?mobile
KODEX
코덱스 공식홈페이지, 증권사 리포트모음, 대한민국 ETF 시장의 선도자, KODEX는 국내 시장을 뛰어넘어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ETF 운용사를 지향합니다.
www.kodex.com
ETF는 분산투자를 통해 더 안전하고 거래비용도 저렴하며 유동성공급자(LP)가 거래를 도와줍니다.
https://www.tigeretf.com/ko/education/etf_characteristics/content.do
ETF의 특징과장점
ETF의 특징과 장점을 확인해보세요
www.tigeretf.com
1) 해외지수형 : 미국, 중국, 프랑스, 영국, 독일 등 주요국 대표지수 추종
2) 테마지수형 : 전기차, 메타버스, 기후변화, 고배당주, 한류주 등 테마 추종
3) 지수형 : 코스피 200, 코스닥 150 등 국내 대표지수 추종
4) 업종/섹터지수형 : 반도체, 자동차, 2차전지 등 업종 추종
5) 상품형 : 원유, 금, 은, 구리 등 상품자산 추종
6) 채권형 : 국채, 회사채, 미국 국채 등 추종
7) 통화형 : 원화, 달러화 등 주요국 통화 추종
cf) 인버스 : 시장이 하락한다는 것에 투자하는 야수의 심장들이 좋아하는 종목
총 7가지의 분류로도 분류가 가능하지만 위 이미지와 같이 6가지로도 분류가 가능합니다.
펀드는 전문가가 대신 종목을 모아 돈을 굴리는 반면 ETF는 거래소를 통해 주식과 같은 방식으로 투자가 행해집니다.
이 때 발행시장은 대규모 거래만 가능하기 때문에 기관투자자들이 이용하고 일반 투자자들은 유통시장에서 ETF를 매매합니다.
ETF는 증권사가 아닌 자산운용사가 만든 상품으로 KODEX는 삼성자산운용이 만든 ETF이고 TIGER는 미래에셋자산운용이 만든 ETF, KBSTAR는 KB자산운용이 만들었으며 ARIRANG은 한화자산운용이 만들었습니다. 기타 다른 자산운용사에서 제공하는 ETF의 개수를 위 이미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이는 바와 같이 KODEX와 TIGER가 절대적인 종목 수가 월등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순자산 역시 차이가 많이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럼 대표적인 ETF 몇 개만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KODEX 200는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전체 종목 중에서 시장대표성, 업종대표성, 유동성 등을 감안하여 대표하는 200개 종목으로 구성된 KOSPI(코스피) 200 지수를 그대로 추적하는 ETF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사이트를 참조하세요.
https://m.kodex.com/product_view.do?fId=2ETF01
KODEX 200 > 상품상세정보 > 상품정보 > KODEX
기준가(NAV) vs 추정기준가(iNAV, indicative NAV) 기준가(NAV) : ETF의 자산에서 ETF가 갚아야할 부채를 차감한 것을 순자산총액이라고 하는데, 이 순자산 총액을 ETF의 총 증권수로 나눈 값을 기준가 또는
m.kodex.com
한국거래소가 발표하는 KOSPI 200 지수를 추적대상지수로하여 1좌당 순자산가치의 변동률을 기초지수의 변동률과 유사하도록 투자신탁재산을 운용하는 ETF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사이트를 참조하세요.
https://www.tigeretf.com/ko/product/search/detail/index.do?ksdFund=KR7102110004
미래에셋 TIGER ETF
미래에셋 TIGER ETF 공식홈페이지, 시장대표지수 및 다양한 섹터, 테마 등 국내에서 글로벌까지 ETF투자솔루션 제공
www.tigeretf.com
https://namu.wiki/w/%EC%83%81%EC%9E%A5%EC%A7%80%EC%88%98%ED%8E%80%EB%93%9C?from=ETF
http://www.kodex.com/etf.do?mobile
KODEX
코덱스 공식홈페이지, 증권사 리포트모음, 대한민국 ETF 시장의 선도자, KODEX는 국내 시장을 뛰어넘어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ETF 운용사를 지향합니다.
www.kodex.com
https://www.tigeretf.com/ko/education/etf_justice/content.do
ETF의 정의
ETF가 무엇인지 확인해보세요.
www.tigeretf.com
http://data.krx.co.kr/contents/MDC/MAIN/main/index.cmd
KRX 정보데이터시스템
증권·파생상품의 시장정보(Marketdata), 공매도정보, 투자분석정보(SMILE) 등 한국거래소의 정보데이터를 통합하여 제공 서비스
data.krx.co.kr
https://themodestwallet.com/what-is-an-etf/
What is an Exchange Traded Fund 'ETF': Everything You Need to Know
In its most basic form, an exchange-traded funded, or simply ‘ETF’, is an investment vehicle that tracks an asset, or group of assets.
themodestwallet.com
https://www.ig.com/en/shares/etfs/what-are-etfs-how-do-you-trade-them
What are ETFs and how do you trade them?
Discover what ETFs are, the different types of ETF available to buy or trade, and how you can open a position.
www.ig.com
0000
OEM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 이란 (0) | 2022.02.01 |
---|---|
시가총액(Market Capitalization) 이란 (0) | 2022.01.17 |
CPI (= Consumer Price Index = 소비자물가지수) 란 (0) | 2022.01.14 |
PBR (= Price to Book-value Ratio 주가순자산비율) 란 (0) | 2022.01.09 |
PER (= Price Earning Ratio = 주가수익비율) 란 (0) | 2022.01.02 |